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Native select
- 페이지네이션
- OSI 7계층
- 백준 nodeJS
- Node js
- 정규표현식
- react js
- 코딩테스트
- 자바스크립트
- 유데미
- MUI
- CSS
- javascript
- kakao map api
- 이벤트 루프
- next/Image
- 알고리즘
- primitive type
- 코드스테이츠
- 백준
- input class
- 배열
- 재귀함수
- 코드스테이츠 메인프로젝트
- sort
- 프론트엔드
- JavaScript Deep Dive
- 자료구조
- 버블정렬
- nodej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4/19 (1)
신입 개발자에서 시니어 개발자가 되기까지

히든 클래스에 대해서 공부하다보니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두 가지 형태가 있다는 걸 알았다. 내가 이때까지 이해하고 있었던 객체는 dictionary mode에 가까움. key-value 쌍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가 내가 이해한 객체였고, 그래서 객체는 key값에 접근하면 바로 value를 반환하기 때문에 O(1)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근데 히든클래스에 대해 공부하다보니 이건 완전히 오해였다. 히든 클래스 big O결론적으로 히든 클래스 형태로 저장된 객체의 값에 접근할 때는 O(1)Dictionary 형태의 객체에 접근할 때는 O(log n) ~ O(n)이라고 한다.히든 클래스란?객체를 선언 했을 때 객체의 속성과 타입이 고정되어 새로운 속성을 추가할 수 없는 정적 언어와 달리 자바스..
카테고리 없음
2025. 4. 19. 0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