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section1

Scope / let, const, var의 차이

Jin.K 2022. 9. 7. 00:55

개념

a. 모든 식별자(변수, 함수, 클래스의 이름)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 됨.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의미한다.

스코프 종류

a. 전역스코프
b. 지역스코프
    a. 블록 레벨 스코프
        i. 화살표 함수는 블록 스코프로 취급된다.
        ii. for 반복문.
        iii. 중괄호 블록.
    b. 함수 레벨 스코프
        i. 함수레벨 스코프를 따른다는 말의 의미는,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함수가 아닌 코드 블록 내에서 var로 선언을 해도 지역변수가 아니라 전역 변수가 됨.
  • Let과 const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함수, if문, for문, while문 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 그러나 var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함수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블록 스코프를 따르지 않음)
    a. 다만 화살표 함수의 블록은 블록 스코프이지만 여기서는 함수 스코프를 따른다.

렉시컬 스코프

함수가 호출될 때가 아니라 선언될 때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것

Var와 let의 차이

    a. 이제서야 선언단계 / 초기화 단계를 이해했다. Var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코드가 실행되기 이전(런타임 이전)에 이미 선언단계와 초기화단계를 완료한다. 초기화 단계는 선언된 변수에 undefined를 할당하는 것이다.
    b. 이에 반해 let은 변수 선언과 초기화 단계를 동시에 진행하지 않는다. 런타임 이전에 변수의 선언은 암묵적으로 진행하지만, 초기화 단계는 런타임 시점에 변수 선언문에 도달 했을 때 실행한다.
    c. var의 재선언은 에러가 나지 않지만, let의 재선언은 에러가 난다.
    d. const, let : 블록레벨 스코프 / var : 함수레벨 스코프
var let const
scope(유효 범위) 함수레벨 블록레벨,함수레벨 블록레벨,함수레벨
변수 선언과 초기화 단계 함께 진행 분리됨 분리됨
재선언 가능 불가 불가
호이스팅 O X X

Hoisting

- Var는 호이스팅이 되고, let은 호이스팅이 안되는 것처럼 동작한다. 안되는 것처럼 동작한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 자바스크립트는 ES6에서 도입된 모든 선언을 호이스팅한다. 다만 let, const, class 선언문은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3. 전역 변수의 문제점 a. 긴 생명주기 i. 전역객체와 생명주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메모리 낭비가 될 수 있다. b. 스코프 체인의 종점에 위치 i. 변수를 검색할 때 지역스코프 -> 전역 스코프 순으로 검색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릴 수 있다. c. 네임스페이스 오염 i. 다른 파일이라 하더라도, 전역객체를 공유하기 때문에 동일한 이름으로 선언된 변수나 함수가 존재할 수 있다. 4. Const 와 객체 Const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원시값은 변경 불가능하지만 객체의 값은 변경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