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개발자에서 시니어 개발자가 되기까지

[Javascript Deep Dive] 13장 스코프 본문

책읽기/Javascript Deep Dive

[Javascript Deep Dive] 13장 스코프

Jin.K 2022. 10. 3. 00:35

1. 개념

- 모든 식별자(변수, 함수, 클래스의 이름)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 됨.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의미한다.

2. 스코프 종류

a. 전역스코프

b. 지역스코프

    1) 블록 레벨 스코프
        i. 화살표 함수는 블록 스코프로 취급된다.
        ii. for 반복문.
        iii. 중괄호 블록.
    2) 함수 레벨 스코프
        i. 함수레벨 스코프를 따른다는 말의 의미는,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함수가 아닌 코드 블록 내에서 var로 선언을 해도 지역변수가 아니라 전역 변수가 됨.
  • Let과 const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함수, if문, for문, while문 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 그러나 var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함수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블록 스코프를 따르지 않음)

    c. 다만 화살표 함수의 블록은 블록 스코프이지만 여기서는 함수 스코프를 따른다.

    3. 스코프 체인

    - 상위스코프가 하위 스코프를 참조하지 못하는 이유 : 스코프체인은 계층적인 구조로 연결되며,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변수를 검색한다.

    4. 렉시컬 스코프

  • 함수가 호출될 때가 아니라 선언될 때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것

    5. 동적(dynamic) 스코프

  • 함수가 호출된 위치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것.